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시행하는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협약을 어제(28일) 체결하고, 기술개발 및 기업육성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어제(28일) 오후 3시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자체 단체장(부단체장), 기관장 등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시는 이날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을 중심으로 참여기관 및 기업 대표들과 함께 참석해 부산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전략산업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는 지난 5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AI 자율제조 전략 1.0'의 실행 프로젝트로, 인공지능(AI) 기반 로봇·장비 등을 제조공정에 결합시켜 자율화를 구현함으로써 인력난, 생산성 저하, 탄소중립 등 제조업을 둘러싼 난제들을 해결할 핵심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부산은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세계적(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제조업(조선, 자동차, 항공, 기계 등) 위기 등으로 전방산업 수요둔화, 내수 부진 등의 외적 요인과 생산인력의 고령화, 청년인력 감소 등의 내적 요인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시는 이번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추진이 부산의 제조업 체질 개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기술개발 성과의 확산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인 행정을 동원할 계획이다.
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항공산업을 인공지능(AI) 자율제조 기술과제로 삼고, 약 312억 원(국비 87, 시비 176, 민간 49)을 투입, 총 9개 기관과 협력해 본격 기술 개발에 나선다.
항공산업은 최근 항공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세계적(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어 기회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는 분야기도 하다. 특히, 항공산업은 제조업 중 가장 복잡하고 고신뢰성과 고품질이 요구되는 분야로서 인공지능(AI) 자율제조 기술을 선도하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로 평가된다.
이에, 시는 계획단계부터 지·산·학·연 협력 체계를 견고히 구축, 항공산업 과제를 유치해, 대형 모빌리티 부품 조립 및 가공 공정에 복수의 로봇을 투입, 공정 자율화 구현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로봇 시스템 개발은 지역 선도기업인 ‘DRB오토메이션’ ▲설계 및 검증은 부산대학교 ▲기업지원 및 확산은 부산테크노파크 ▲인공지능(AI) 자율제조 기술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피항공, 연세대학교, 카이스트(KAIST) ▲선진기술 도입을 위해 보잉코리아, 워싱턴주립대 등 국외기관도 참여해 기술개발을 수행한다.
기술이 개발되면, 최종적으로 지역 중심(앵커)기업인 대한항공 테크센터 내 항공기 후방동체 부품 조립공정에 실제 투입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계기로 시 정책과 연계한 미래항공 모빌리티 첨단제조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부산테크노파크를 주관으로 강서구 미음산단 내 항공부품 첨단제조 실증센터를 구축, 이번 과제에서 수행한 고도화된 인공지능(AI) 자율제조 공정기술을 조선, 자동차, 기계부품 등 제조업 전반에 확산할 수 있도록 실증하고, 각각의 제조업 현장에 맞도록 상담(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난 21일 ‘CTC’(에어버스 자회사) 대표는 박 시장과의 접견을 통해 내년에 한국지사 개소를 약속했으며, 다수의 세계적(글로벌) 선도기업을 유치해 기술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부산의 전략산업별 선도기업을 대상으로 협의체를 출범해 인공지능(AI) 자율제조 확산을 위한 모든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며, 인공지능(AI)기업, 시스템통합(SI)기업, 로봇·장비 개발기업 등의 기술지원도 같이 추진한다.
한편, 시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의 제조산업 공정작업용 로봇 엔드이펙터 실증 기반구축 사업(총 174.3억 원)에 선정돼, 지역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인공지능(AI) 자율제조 공급 기술 육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부산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항공, 조선, 자동차 모빌리티 전 분야의 제조를 수행하는 부품 공급기지 역할을 맡고 있어, 이번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확산할 수 있는 가장 최적의 환경이다”라며, “이번 프로젝트가 지역 제조업을 다시 부흥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 우리시는 기업 체질개선, 기술력 향상 등을 위한 지원책 확대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