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대신 중소형 스마트팜으로 지역 경제 재편하자전통 산업단지의 쇠퇴, 중소형 스마트팜이 대안이 될 수 있을까?
기술과 농업의 만남, 중소형 스마트팜이 지역 사회를 살린다 ? 산업단지가 오랜 세월 대한민국 경제의 주춧돌 역할을 해왔지만, 최근 전통 제조업의 쇠퇴와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 지역경제 공동화 현상 등의 문제로 위기에 봉착했다.
전체 생산, 수출, 고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해온 산업단지는 과거 경제성장의 중심이었으나, 이제는 시대의 변화를 반영해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기존의 대규모 산업단지 대신, 중소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이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산업단지는 가동률과 생산성이 점차 하락하고 있고, 에너지 소비와 환경오염 문제도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청년들은 산업단지의 열악한 근로 환경과 정주 여건을 이유로 취업을 꺼려하는데, 이는 청년 인구의 유출과 전문 인력 부족으로 이어진다.
기존의 제조업 중심 산업단지는 대규모 생산을 위한 구조로 설계되었지만,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과 더불어 환경과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정부의 스마트그린산단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여전히 고탄소, 저효율적인 산업단지의 특성을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는 지적이 나온다. 따라서 산업단지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구조로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작물의 생육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을 통해 날씨와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인 생산을 가능케 한다.
특히 중소형 스마트팜 단지는 지역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고효율, 친환경적인 산업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중소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은 청년층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 내 인구 유출을 막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스마트팜은 전통 농업과 달리 노동 강도가 낮고 기술 집약적인 특성이 있어 청년층에게 매력적인 일자리로 작용할 수 있다.
전통적인 농업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작물 관리와 자동화된 생산 시스템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청년 창업과 고용 창출의 플랫폼으로도 성장 가능하다. 이는 곧 스마트팜 단지가 지역 경제 활성화뿐 아니라 청년층의 유입을 촉진하고 농업 분야의 고부가가치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환경 문제와 식량 안보 측면에서도 중소형 스마트팜 단지는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기존 산업단지가 주변 지역에 끼치는 환경 오염은 지속적인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반면 스마트팜은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물과 전력을 절약하고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 구조로 운영될 수 있다. 스마트팜 단지 조성은 지역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과 기후 변화로 인해 식량 안보가 국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팜을 통해 자급률을 높이고 안정적인 식량 공급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면 국가 차원의 식량 안보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정부는 중소형 스마트팜 단지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스마트팜 운영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도 필요하다. 초기 창업자들이 스마트팜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 재정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스마트팜 단지는 대규모 농업 단지와는 달리 소규모로 운영되어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작물과 재배 기술을 실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지역에 적합한 스마트팜 모델을 개발하고, 나아가 전국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성공 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다.
결국 기존의 산업단지는 한계에 도달했고, 시대 변화에 발맞춰야 한다. 중소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은 지역 경제와 환경을 동시에 고려한 지속 가능한 모델로,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사회 활성화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스마트팜은 단순 농업을 넘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환경 문제와 식량 안보라는 국가적 과제에도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제는 정부와 지자체가 기존의 산업단지에 대한 전통적 인식을 벗어나, 중소형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하여 농업과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경제 모델을 추진해야 할 때다. 이는 미래의 산업 구조를 선도하고, 지역 경제와 환경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한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